조선 제5대 왕 문종의 가계도 등인터넷자료(블로그) 인용 게시인터넷자료(블로그) 인용 게시문종의 업적인 직접 해동 자습의 서문에서 성삼 글은 세종과 문종이 함께 훈민정음을 만들었다(우리 세종 문종 개심 어차.旣작 훈민정음)고 밝혔듯이 세종과 문종 외에도 훈민정음의 창작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관여한 것이다.훈민정음을 만든 원리도 예전에 있던 자료를 많이 참고했을 것이다.훈민정음 해례본에는 운서라는 단어가 3회 등장한 것만 봐도 중국의 운서가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그 구체적인 인용으로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카논의 ㆁ(어머니)는 비록 혀의 뿌리가 목을 감고 소리의 기운이 코가 나오는데 그 소리가ㅇ(유모)와 비슷해서, 운서도 장모와 유모와 자주 서로 혼용(그저 아기 기세 이기 성여ㅇ상사 고 운 다상 혼용)”라는 글이 나온다.운서의 특징을 설명하면서 훈민정음도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을 설명하는 글이다.훈민정음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모와 유모는 중국의 운서로 사용하는 단어이다.훈민정음은 1443년 12월 30일 조선 왕조 실록에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글씨)을 만들었지만 그 글씨가 옛 전자를 모방하고 초성·나카 소리·마지막 소리에 나누어 맞춘 뒤에야 글자를 이뤘다.문자에 관한 것과 단어에 관한 것을 모두 쓸 수 있고 문자는 비록 간단하고 요약하지 않지만 전환하는 것이 무한하고 이것을 훈민정음이라고 일렀다.”라는 명백한 기록이 남아 있어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도 훈민정음은 세종의 창작이라고 알고 있다.그러나 훈민정음을 천재적인 세종이 혼자 창작했다는 것은 믿기 어려운 사실이다.출처:노미동 자습 자료인용